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이제 웬만한 정시성적 결과는 나왔다... 요즘 세상, 대학간판이 취업과 직결되지 

    않는다는 걸 어른&아이할 거 없이 모두가 잘 알고 있지만... 

    대학가서 열심히 해야 내 인생이 달라진다는 것도 잘 알고 있지만....



    왜 이리 기분이 좋지 않을까? 



    이유는 이렇다. 



    바로 주변 친구들이 나보다 높은 대학에 갔기 때문이다. 



    이게 별 거 아닌 것 같다고? 친구들이 잘 되면 박수쳐주는 게 맞지 않냐고?



    입시의 실패를 겪어본 사람이라면 알 것이다. 박수치는 건 박수치는 건데, 이게  

    얼마나 나의 가슴을 아리게 만드는지...



    같은 시간, 같은 학원, 같은 현우진 커리큘럼까지...  20년 동안 나와 내 친구들이 

    같은 길을 걸어왔어도 결과는 달랐다는 현실은 혀에 쓴 맛을 가져온다. 특히 이미 

    N수생의 신분이라면 상대적 박탈감 역시 N배가 된다.



    "하.... ㅅㅂ...."



    인간이 그렇다. 무언갈 미친듯이 노력해서 얻은 결과를 나만 갖지 못하면 

    미쳐버린다.



    낮은 자존감으로 입학한 대학교에선 새내기 라이프가 눈에 들어오지 않는다.

    자꾸만 그 주위를 겉돈다.



    '내 동기들은 이 대학에 한 번에 왔는지 난 뭐지..?'



    '다른 애들은 이미 좋은 대학가서 작년부터 신나게 놀고 있을텐데... 

    난 여기서 뭐하는 걸까...?'



    더 이상 경제적 부담을 안기엔 버거운, 아이가 입시는 그만 잊고 사회로 얼른 

    나아가길 바라는 어른들은 아이를 설득하려고 한다. 



    "대학간판은 취업과 관련없어" 



    "다시 해도 안 됐잖아"



    "대학가면 또 새로운 길이 보여"



    결과는 어떻게 될까? 



    똑같다



    아이의 감정도, 내 입아픔도 모든 게 말이다. 



    어떻게 하면 좋을까?



    <어른이s> 애써 N수와 편입을 하는 이유

    대본 블로그


    1. 정서적 위로를 해줘라



    이 단계가 사실 제일 중요하다. N수 실패의 서러움과 후회의 감정을 해소하지 못한 어른이들은 점수에 맞는 대학에 가서 다시 집착으로 향한다. 



    N수 트라우마를 가진 어른이들의 선택은 이렇다.



     1) 대학와서 또 N수 준비를 한다

     2) 몇 년만 다니고 편입준비를 한다



    아이의 확고한 결심을 엄마에게 내뱉는 순간,



    '또...........또...... 또...!!!!' 



    라는 생각이 먼저드는 건 당연하겠지만,

     

    우선은 감춰두고 아이의 선택을 존중해줍시다...



    N수를 선택하는 게 잘못은 아니잖아요... ㅎㅎ

     

    "니가 어떤 선택을 하든 엄마는 존중해..."



    신기하게도 아이는 큰 위로를 받는다. 내가 어떤 길을 가든 응원해주는 사람이

     곁에 있다는 건 참으로 기쁜 일이다.



    감정이 좀 괜찮아지면 그 다음 단계로 넘어가자.



    2. N수하는 N년동안 할 수 있는, 아이가 원하는

     모든 걸 말해줘라 

     



    갓 성인이 된 어른이들이 원하는 건 딱 하나다. 바로 본인이 청소년 시절 땐 할 수 

    없었던, 성인이 되고 나서야 비로소 할 수 있는 것들.  



    그것도 딱 스무 살 때만 느낄 수 있는 설렘들 위주로 아이의 뇌를 자극시켜주자.

     

    "너 선배들이나 친구들한테 대학생활 이야기 많이 들었잖아. 

    웹드라마 이런 것도 많이 봤고. 

    스무 살, 스물 한 살에 맞는 즐거움이 또 따로 있어. 

    너 N수해서 더 늙어버리면 대학가서 연애도 못하고 

    어린 동기들이 너 불편하게 여겨.

    그런 평생 한 번 뿐인 스무 살 설렘을 전부 놓쳐버리고 

    나중에 또 후회를 해버리는 거라고.

     

    그리고 N수학원 등록하는 비용으로 차라리 피부관리를 받아. 

    공부하느라 다 망가졌잖아. 엄마가 좀 보태줄게. 

    그렇게 하면 애들이 다 너 좋아할 걸? 

    그게 니 재수학원 친구들보다 우위에 차지할 수 있는 일인거야.



    선택해. 나중에 중요해지지도 않는 대학간판을 택할지 아님 

    방금 엄마가 말한 새로운 장점을 택할지." 



    모든 사람에게 '시간'이 참 중요한만큼 그 시간에서 나오는 기회비용을 아이에게 

    전해주면 본인에게 새로운 선택권이 있다는 걸 깨닫고

    부정적이었던 감정은 긍정적으로 변화한다. 



       이렇듯 설득은

    1)  감정적 공감

       2) 긍정적 방향 제시

          순으로 진행된다.  





    이제는 나도 스무 살 성인,

    어떤 길을 가든, 누구를 만나든, 그래서 어떤 결과를 갖든

    본인이 한 선택에 대한 책임은 오직 자신만이 지는 것이다.



    <어른이s> 채널 운영자는 앞으로 험난한 인생을 살아갈 

    대한민국 어른이들을 응원한다.

     

     

    반응형